명찰 답사/경상남도-명찰

삼보종찰 답사길-1-통도사에서 해인사로

굿모닝 박 2016. 3. 9. 13:13

여행일자 : 2016월 02월 21일 (일요일)

 

여행한 곳 : 양산 통도사

                  합천 해인사

 

소 재 지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합천군 가야면

 

 

아는 지인의 권유 또는 안내로 "삼보종찰"이라는 명찰을 답방하는 기회를 가지는 귀한시간을 보낼수 있었읍니다

 

사실 불교는, 아니 종교는 별로 관심도 없었고 아무 지식도 갖고있지못합니다

 

저와 가까운 백부님이 교회의 목회자로 은퇴하시고 지금은 고인이 되셨지만, 생전에 집안의 장손인 저에게 기독교와 같이 하시기를 종용?, 권유하셨지만 원래 어른들이 하라고 하면 하던짓도 안하는 스타일인 저는 오히려 기독교뿐만이 아니고 종교자체를 경원시 하게되고 자꾸 종교의 부정적인 부분만 보거나 듣게되고 생각하고 그렇게 생활하게 되고 그리고 그런걸 떠나서 오히려 남들이 종교적인 견해를 밝히면 반박을 일쌈았더랬읍니다

 

그렇다고 무슨 지식이나 나만의 뚜렸한 견해, 안목도 갖지 못하면서도 그냥 무조건 종교적인 견해를, 권유를 반박하는

아니 그냥 반대를 위한 반대를, 그것도 상대방의 말꼬리를 잡아서 상대방을 당황하게 하는일이 다반사였드랬읍니다

 

앞으로는 가능하면 긍정적인 사고로, 편향되지않은 사고로 상대방의 종교를 바라보려 합니다 

 

그렇다고 바로 제가 무슨종교에 귀의하지는 않겠지만 최소한 비난하거나 부정적인 시각으로 임하지는 않겠읍니다

 

그리고 어떤 종교를 접하게되든 편견없이 상대방을 이해하려 하면 저자신도 조금은 성숙해질수 있겠지요

 

아무튼 그렇게 동대문 부근의 약속장소에서 심야에 버스에 오르게 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위키백과"문의하니 다음과 같이 기재되어 있었읍니다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자세한 내용은 다 모셔오지 못했읍니다

관심있으신분은 "위키백과"에 문의해보시지요

 

"통도사(通度寺)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사찰이며 영축산 남쪽 기슭에 있다. 합천 해인사(법보사찰), 순천 송광사(승보사찰)와 더불어 한국 삼보사찰로 불리고 있다. 자장이 당나라에서 가져온 석가모니 사리와 가사를 봉안하여 불보 사찰이라 불린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이다.

2018년,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통도사"가 자리잡고 있는 "영축산"의 등산지도를 보며 추후 연계산행, 답사를 생각해봅니다

통도사의 상징과도 같은 부처님 진신사리탑입니다

사진이 션찮아서 다른곳에서 모셔온 사진입니다

 

 

심야의 "DDP" 입니다

"DDP"가 보이는 건너편에서 버스에 승차합니다

(승차시간은 한참 뒤입니다, 좀 일찍와서 커피한잔 하려합니다)

 

그리고 밤새 달려서 도착한 통도사입니다

어두워서.....영.....

 

당최 어디가 어디인지.....

 

신도들이 쉬는 장소인가 봅니다

이곳에서 잠시 휴식을 취해봅니다

 

어슴프레 "영축산 통도사"라는 글이 보입니다

 

천천히 동이 밝아옵니다

 

무슨 건물인지, 용도는 무엇인지 잘모르는 저는 그냥 둘러봅니다

 

여기가 진신사리탑이라는데....

잘안보이고 확신이 없어서 상기에 다른곳에서 모셔온 사진으로 대치 했읍니다

 

이렇게 어두컴컴 "양산 통도사"의 탐방을 침침하게?마무리 하고

다음 장소인 "합천 해인사"로 향합니다

 

"위키백과"문의하니 다음과 같이 기재되어 있었읍니다

역시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자세한 내용은 다 모셔오지 못했읍니다

관심있으신분은 "위키백과"에 문의해보시지요

 

해인사(海印寺)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 중턱에 있는 사찰로서 양산 통도사(불보사찰), 순천 송광사(승보사찰)와 더불어 한국 삼보사찰로 불리고 있다. 팔만대장경 세계기록유산,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장경판전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2교구 본사로 150여 개의 말사(末寺)를 거느리고 있다. 불교의 삼보사찰 중 법보(法寶) 사찰로 유명하다. 대적광전(大寂光殿)의 본존불은 비로자나불이다.

 

"해인사"가 자리잡고 있는 "가야산"의 등산지도를 보며 추후 연계산행, 답사를 생각해봅니다

 

합천 "가야산 해인사"에 도착합니다

 

해인사 경내로 향합니다

"양산 통도사"와는 사진의 분위기가 상당히 밝아보입니다

 

원래 큰 명찰에서는 이런걸 안하는데

"해인사"이라서 인지는 몰라도 나도 모르게 기와불사에 참여합니다

 

사진이 밝아서 그런지 분위기가 참 다름니다

 

저~기가 "가야산"인가요?

잘~모르겠읍니다

산행을 처음 나설때 산악회 따라 "가야산"에 다녀오기는 했는데 기억은 없읍니다

 

경내를 둘러봅니다

 

팔만대장경을 친견? 맞나요?

아무튼 팔만대장경을 뵈러 갑니다

에구 어학사전을 보니 "親見"이라는 단어는 한국어로는 적합하지 않네요

"손윗사람이 직접 봄"이라고 사전에 나와있네요

(하지만 요즘은 막쓰기도 하는것 같은데 조심스럽네요)

 

안에는 못들어가고 이렇게 밖에서~~~

 

처마끝과 굽이치는 "산마루금'이 잘 어우러져보입니다   

 

다시 경내를 돌아봅니다

 

그리고 경내에 카페가 있길래~~~ㅎ

차한잔 하며 잠시 휴식을 갖어봅니다

 

아!!! 이건 동영상으로 담았어야 했는데....

스님이 아주 드라마틱하게 즐겁게 큰북과 노니십니다

 

경내를 벗어납니다

 

 

아 그리고 이번에 가이드를 해주셨던 분께 들은 상식?인데 

불가에서 "삼보"라고 칭함은 1, 부처님   2, 불경   3, 승려 라고 한답니다

해서  "1, 부처님" 부처님 "진신사리" 와 "가사"를 모셔서 "불보사찰" 이라고 합니다

         "2, 불경" 즉"법보" 불경을 "팔만대장경"을 모셔서 "법보사찰" 이구요

         "3, 승려" 즉 "승보"는 호남에 있는 "송광사"가 해당 됩답니다

그리고 각 "삼보사찰"은 일반사찰과는 다른 특이한점이 있는데

"통도사'는 "진신사리"가 있어서 대웅전에 부처님이 안계시고

"해인사"는 대웅전보다 "팔만대장경"을 모신 전각이 대웅전보다 위치상 더 높고

이는 "송광사"도 스님들이 공부하시는 곳이 가람내에서 가장 높은곳에 위치해 있다고 합니다

아무튼 모든 사찰이 다 같은 기준으로 가람을 배치, 건립하는걸로 그냥 관습적으로 알고 있었던

저에게는 새로운 내용이었읍니다

"승보사찰"인 "송광사"는 다음편에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