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을 닮고싶은, 산을 배우고 싶은
  • 늘 싱그로운 아침처럼
  • 싱그로운 아침처럼
기맥 및 지맥/명성지맥(完走)

한북 명성지맥 제 1구간 광덕고개~광덕산~자등현

by 굿모닝 박 2010. 7. 26.

산 행 일 자 :  2010년 07월 25일 (일요일)

주 요 산  : 광덕산

 

오늘은 친목회에서 피서를 떠나자고 한날인데.....

거시기?도 한마리 준비하고....

음료수도...각종 주류등 마실것과 과일등 푸짐하게......

하지만 난 늦은 오후지만 오후에 볼일을 봐야하기에.....

참석치 못하고, 그렇다고 집에만 있기에는 좀이 쑤시고.....

참석하자니 약속을 어길것 같고.....

에라~~하고 출발한 "명성지맥"길을 출발합니다

광덕산을 지나서 830고지까지는 여러번 갔었던 길이고 자등현에서 각흘산까지도 여러번 갔었던터라 부담없이 길을 나섭니다

출발해서 광덕산을 도착하니 처음 머리속에 떠오르는 생각이 작년 추석무렵에 한북정맥 첫구간을 출발할때 함께했던

기상대의 "진순이(진도개)"의 안부가 궁금합니다

수피령에서 떼어놓았었던 안타까웠던 기억도 생각나고.....

잘~있는지도 궁금하고, 아니 집은 잘 찾아갔었는지도 궁금하고.....

해서 광덕산을 지나서 지맥길과는 반대인 둥근지붕의 기상대에 가봅니다

그런데 진순이는 없고 그~새끼인 어린 강아지만 한마리 있었읍니다

인기척에 나온 기상대 직원에게 안부?를 물어보니 산아래 마을의 직원집에 새끼를 출산하러 갔다네요

그말에 그간 약간의 불안감을 씻어내리며 건강하고 귀여운 강쥐를 출산하기를 기원하며 발걸음도 가볍게 지맥길에 나섭니다

좀 덥긴하지만 참 가벼운 마음으로 명성지맥을 출발합니다

오전에 산행을 마치려면 자등현에서 산행을 접어야 할듯합니다   

 

 

 

 

 

 

 

 작년 10월 초에 한북정맥 시작할때 와보고 산행때문에 이곳에 온것은 약9~10개월만이군요

이곳에 특산품을 파는 노점이 없어지고 공원과 조형물이 생겼네요

 

 

반달곰상 뒤에 있는 밧줄이 늘어진 한북정맥길로 들어섭니다

이길을 이용해서 분기점인 광덕산으로 접근하려합니다

 

 

올라서자마자 첫 표지대가 보입니다

 

 

아침 안개속에서 싸리버섯群 이 어린 모습을 보입니다

며칠내로 크겠지요?

좀 더크면 저 버섯에 무우와 쇠고기를 넣고 얼큰하게 버섯 소고기 장국을 하면 맛날텐데....

침을 삼키며 발걸음을 재촉합니다

 

 

어리지만 좀더 확대하니까 제법 싸리버섯의 자태가 보입니다

 

 

출발한지 약30분쯤 됐나 봅니다

땀이 비오듯 쏟아집니다

이른 아침인데도 말입니다

이곳에서 좀 쉬면서 아침대신 간식으로 허기를 달랩니다

 

 

나무사이의 숲길이 아련한게 참~좋읍니다

박소장이 젤 좋아하는 길입니다

 

 

이 버섯도 먹는 버섯이라는데 이름을 잘모릅니다

버섯은 아무리 먹어본 버섯이라도 잘 모르면 거들떠도 보지않는게 최선이라고 합니다

 

 

이곳에서 눈에 익숙하고 반가운 리본이 눈에 띄어 옆에 저도 한번 기대봅니다 

 

 

광덕산 정상에 도착했읍니다

아직 분기점인 830고지의 갈림길까지는 2Km이상 남았다고 합니다

그러고 보니 오늘 지맥산행은 약2Km정도 밖엔 안되는군요

 

 

진순이가 궁금해서 반대방향인 기상대까지 와봅니다

인기척에 나온 이곳의 직원에게 즌순이의 근황을 물어보니 출산하러 산아래의 직원집에 가있다는군요

다행입니다 건강하고 무사히 귀여운 강쥐들을 출산하기를 기원하면서 다시 왔던길로 되돌아섭니다

 

 

바로 이녀석입니다

한북정맥의 첫구간을, 기상대에서부터 수피령까지 먼길을 함께했었던 친구입니다

(한북정맥 1구간때 촬영했었던 사진)

 

 

다시 되돌아온 광덕산

 

 

백운계곡 방향으로 발을 내딛읍니다 

 

 

큰골 갈림길

계속 백운계곡 주차장 방향으로 향합니다

 

 

"나리꽃"으로 알고 사진을 찍었는데

주변에서 보고는 '원추리꽃"이라고 하네요

봄이면 나물로도 해먹는 그 "원추리" 말입니다 

 

 

참으로 정겨운, 아름답고 싱그러운 숲길입니다

 

 

무슨버섯인지는 모르지만 무슨 인형처럼 나란히 서있읍니다

 

 

830고지 갈림길인 분기점에 도착했읍니다

백운계곡 주차장 까지는 여러번 갔었지만 각흘산 방향인 자등현까지는 처음입니다

하지만 대충 방향과 길이 짐작됩니다

 

 

반가운 이름이 보여서 옆에 기대봅니다

늘~아름다운 산행을 하시기를~~~

 

 

오래전에 다녀가신 모양입니다

글씨의 색이 많이 바랬읍니다

늘~아름다운 산행을 이어가시기를 ~~~

 

 

아! 이사다리가 이구간에 있었군요

깜빡 착각했었읍니다

다음구간에 있는걸로.....

감사히 잘~이용했읍니다

이 가설 시설물을 만드신분께 감사드립니다

 

 

헬기장도 나오는군요

아마 지금은 이용안하는가 봅니다

 

 

전망암에서 각흘산과 자등현을 지나가는 47번 국도가 보입니다 

 

 

보라색 도라지꽃이 수줍은듯 피어있읍니다

 

 

임도로 접어듭니다

 

 

이름모를 야생화가 화사하게 피어있읍니다

 

 

색갈도 다양합니다

 

 

콘크리트 포장길로 바뀝니다

조금 내려가다가 숲길로 접어듭니다

 

 

이헬기장은 지금도 사용하는가 봅니다

비교적 관리가 잘되고 있읍니다

 

 

군사시설물로 생각이 듭니다

 

 

자등현에 도착했읍니다

다른 산악회에서 버스가 여러대 와 있군요

  

 

길 건너 반달곰 동상뒤가 각흘산을 오르는 들머리로 기억됩니다

이곳에서 각흘산 정상까지는 여러번 왔었읍니다

원점 회귀를 했엇지만.....

오늘 산행은 이곳에서 택시를 호출하면서 끝냅니다

 

 

 

 

 

오늘의 산행시간

 

산행 출발시간 : AM : 07시 30분경

 

산행 종료시간 : AM : 11시 00분경

 

총 산행시간  약 3시간 30분 (휴식 및 식사시간 포함)

 

 

 

오늘의 산행거리

 

광덕고개~(2,2)~광덕산~(2,4)~830고지 갈림길 (분기점)~(2,2)~자등현 

                                                   

총 산행거리  6,8 Km (도상거리 기준, 알바 미포함)

 

 

 

오늘의 경비

 

차량회수용 택시비          27,000원

                        합  계    27,000원 (기타경비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