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을 닮고싶은, 산을 배우고 싶은
  • 늘 싱그로운 아침처럼
  • 싱그로운 아침처럼
9정맥/한북정맥(完走)

한북정맥 제 2구간 광덕고개 ~ 도성고개

by 굿모닝 박 2009. 10. 5.

 

산행일자 : 2009년 10월 04일 (일)

누 구 와 : 나 홀 로

 

명절 뒷날이라 울 총리내무대신을 비롯한 나의 열열한 지지자들과 오붓하게 야외로 나가 즐거운 한때라도

 

보내려는 나의 계획은 국정가사 ? 에  열중한 나머지 걍~조용히 집에서 쉬고싶다는 내무대신과 그옆에서 조용히

 

눈치를 보며 잘되었다는 맘으로 "아빠 산에라도 다녀오세요"라는 큰넘의 이야기에 올타구나 하는 맘으로

 

이기는체 하고 주섬 주섬 챙겨서 (전날저녁) 이른새벽 미안한 마음으로 집을 나서서 지난번과 비슷한 시간대에

 

다시 광덕고개 바로 그자리에 차를 주차하고 2구간 산행을 시작했다   

 

그러나 출발이 찜찜했던지 오늘도 여지없이 엇그제 1구간의 악몽을 재현한 2구간의 산행이었다

 

출발한지 약 1시간 30분여 만에 백운산 정상에 도착한것 까지는 좋았으나 오늘의 산행구간을 갈수있는데 까지

 

가보자는 욕심으로 출발해서 그런지 원래 갈림길이나 정상등 분기점에서는 찬찬히 살펴보던 습관은 어디가고

 

그시간에 백운산에서 선답자를 (모산악회 운영자 인데 산악회원들의 보편적인 산행기량에 맞추어 중간에

 

어디서 끊을지고민하느라 답사차 온것이라고 했다)  만나 반가운 마음에 인사도 하고 서로

 

한방 품앗이도 좀하고 그러다가 걍~서둘러서 출발한것이 화근 그냥 아무생각없이 가고있는데 내리막이 너무길고

 

길도 너무 훼손된고 리본도 일반산악회것만 보이고 결정적인것은 좌측으로 화악산과 우측으로 보여야할

 

이동면일대가 화악산은 안보이고 도마치봉이 보이고 이동면은 눈앞에 자꾸가까워 보인다

 

아뿔사 할때는 이미 내려온지 약 30~40분이상이다

 

안내 등산표지대의 거리는 백운봉 정상이 2,4 Km 란다  우와~초대형 알바다

 

여기서 커피한잔하며 마음을 가라 앉히며 고민 걍 백운산 산행으로 족하고 하산? 아니면 다시진행?

 

"고민할것 뭐있나" 하는마음으로 다시 출발, 빽~~~ㅎ

 

오늘의 목표인 노채고개까지 못가면 강씨봉에서 끊고

 

그도 안되면 도성고개에서 끊으면 되지

 

또 그도안되면 견치봉에서 끊고, 아니면 국망봉에서....

 

이렇게 마음먹으니 한결 속상하고 화가나는 마음이 누그러진다

 

사실 뭐 매출 올리는 일도 아니도 "나를 되돌아보고 생각좀 하려고 산행한다"는 사람도 있다는데.... 

 

그래도 오늘은 생각보다 많이 산행을 했다

 

사실 도마봉에서 부터 강씨봉을 지나서 명지지맥이 시작되는 분기점까지 형성된 방화선이 내내 마음에 걸렸었다

 

하절기에 여기오면 한여름에도 긴팔옷을 입고 다리에도 눈올때 처럼 스피치를해야했다

 

언젠가는 명성산에 사람이 많아서 대체산행으로 이곳을 왔었던 기억도 있다

 

이곳이 뱀도 많고 억새밀 키작은 잡목과 잡초들이 많아서 엄청 갈길을 더디게 만드는 구간이라고 기억에 남아있다

 

그런데 누군가 말끔히 예초를 했다

 

특히 내리막에서는 미끄럼 타는 재미가 쏠쏠했다

 

갈대 인지 억새 인지  베어논 지푸라기를 얼음이나 눈위에서 미끄럼 지치기를 하듯이 미끄럼놀이를 해가며~~~ㅎ

 

잠깐이지만 동심으로 돌아간 시간이었다  소리도 질러가며 엉덩이로, 혹은 누워서~~~

 

아주 혼자 생~쑈를 해가며 말이다

 

혼자니까 생~쑈를 했지 누가 있었으면 걍~조용히 내려왔을것이다 그러면 아마 다리에 힘주느라

 

무릎에 부하도 좀 걸렸을테고...생~쑈도 할만하다

 

어쨌든 시간과 체력을 벌었고 알바해서 찜찜했던 기분도 전환되고~~~ㅎ 

 

예상보다 시간도 많이 벌었고 알바만 안했으면 최소한 귀목봉 분기점까지는 진출 할수있었는데...하는 아쉬움을

 

뒤로 하고 도성고개에서 접었다

 

오늘은 최소한 저녁 8시전에는 귀가하겠다는 울총리대신과의 공약을 지키려고,,,,,

 

산행일자 2009년 10월 04일 

한북정맥 제 2구간  광덕고개 ~ 도성고개 

 

 

 

 

 

 

 지난번 주차했던 그자리에 점잖게 모셔두고~~~ㅎ

 기둘려라 애마야~~~

 

 

남들은 ㅣ구간과 2구간에서 이 곰상을 빠지지않고 사진에 실어 놓던데

난 겨우 이렇게.....

 

 

지난번에 확인했던 들머리

음식점 사이 골목길에 있다

 

바로 이 철계단

몇년전에 왔었을땐 입장료 때문에 일행들이 실갱이 했었는데

안 받은지 꽤 됐나보다

 

 

올라가자 마자 있는 안내도

 

 

아니 이게 누구십니까

명절은 잘~지내셨는지.....

반가운 마음에 나도 하나

 

 

히어리?

몇년전 에도 보고 하산하면 검색해봐야지 했던 나무

오늘은 꼭 해봐야지  아니 지금....

검색해보니 우리나라특산이고 가깝게는 "홍릉수목원에 가면 확실히 볼수있다"고 돼있네

 

 

포천시 와 산림청 두군데에서 안내 표지대를 잘~설치돼있는데

좀 아쉽다

협의를 해서 설치를 하면 좀더 정밀해지고 예산도 절약할수있느데....

하여간 우리나라 공직자들의 근무행태는..... 

 

지난번에 올랐던 광덕산이 조망되고

 

진행방향 좌측으로는 화악산이 조망된다

오늘 내내 좌측시선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좌측시선에서 없어지면 바로 알바~~~ㅎ

 

 

 

드디어 오늘의 첫번째 산봉우리에 도착 고도 903,1 M

스틱을 증거삼아 한방 쾅~~~ㅎ

들떳던 마음은 바로 잠시후에 곤두박질 다운~~~ㅠㅠㅠ

 

 

 

한방 품앗이

이때만 해도 좋았는데~~~ㅎ

 

백운상 정상에서 조망해본 광덕산

 

다시 백운산에 온 박소장~~~ㅠㅠ

약 2시간이상 허비

하지만 의지의 박소장 다시진행~~~ㅎ

(원래 백운봉에 도착하자마자 좌측으로 급격히 좌회전 해야 맞음

 표지대와 안내하는 리본도 잔뜩있었는데 바로직진방향에

 일반 안내산악회의 리본만 보고 직진한것이 화근)

 

바로이렇게 안내 표지대도 잘~되있었는데 안보고......

원래 달구가 앞만 본다고 하던데 맞나 ?~~~ㅎ

꿋꿋하게 삼각봉 방향으로 진군~~~ㅎ

 

사진 좌측이 광덕고개에서 올라온 날머리

       우측이 삼각봉으로가는 정맥길 들머리

 

삼각봉으로 가는 중간에 있는 휴게소

 

 

삼각봉 정상

마음이 급하다 보니 자꾸 발걸음이 빨라진다

 (알바해서 허비한 시간때문에....)

 

 

 

도마치봉 고도 925,1 M

 

뒤에 사람 들 인기척이 들리길래

한방 품앗이를 좀 하려고 기다리니 소리만 들리지 영 안보인다

할수없이 다시 출발~~~ㅎ

 

이상하네 출발하려니까 보이고 사진찍어달라네

그래서 또 품앗이~~~ㅎ

 

 다음 구간인 도마봉쪽 들머리

 

방금 나온 삼각봉쪽 날머리

이곳에서 사진 우측으로 꺽어지면 바로 알바 (하산길)

정맥길은 직진

 

 

도마봉 고도 883 M

어째 헛갈린다

도마치봉.....도마봉....

암튼 이곳이 어디선가 보니까 화악지맥의 분기점이라고 하던에

언젠가 가봐야 할 길이니까 잘~봐둬야지

 

지나온 도마치봉 방향으로 조망

날씨 좋고~~~ㅎ

 

 

좀 당겨보니 기암 괴석 사이에 단풍도 물들기 시작하고...

 

 

화악지맥의 마루금

 

가야할 신로봉, 국망봉 방향

도마봉 지나서 부터 재미있는 방화선 길이 주~욱 펼쳐있다

 

가을 햇살에 길의 풀이 발에 밢히는 촉감도 좋고

 

오늘내내 화악산은 나를 지켜보고 응원하고~~~ㅎ

 

 같은 장소에 서있는 두표지대 왠지 비교된다

어떤게 숫자가 맞는지?

 

824 고지의 삼각점

 

 

 

지나온 정맥 마루금의 방화선길

우측으로 화악지맥의 절개지부분이 가평군 북면 과 화천군 사내면 을 이어주는 도마치고개다

 

당겨서 보니 좀더  도마치고개가 좀 더 잘보인다

 

신로봉 가는길에 하도 색이 곱길래~~~ㅎ

 

 

가야할 신로봉과 국망봉 방향 

 

 

뭐가 허전 하더니....

아뿔사 방화선 길의 햇살도 조금은 뜨겁고

리본이 주~욱 붙어있는 좌측길로 들어 섰더나

그게 신로봉을 우회하는 길일 줄이야~~~ㅠ

할수없지 조금은 남겨 두어야 다음에 다시~~~ㅎ

사진이라도 한방 

 

 

광덕고개~도성고개 검색할때 꼭나오는 명물바위

3사람의 얼굴이 겹쳐보인다고 해서 "삼형제바위" 라고 누가 명명 했던데 박소장도 동감

 

 

돌풍봉 고도 990 M

이름도 색다른게 마음에 들고 고도 숫자도 웬지 맘에든다

다른 정상석보다는 초라 하지만 대학산에 있는 정상 표지판 보다는 낫다

 

돌풍봉 정상에서 바라본

신로봉 주변의 암릉지대

단풍과 어우러져 멋지다 

 

이동면 일대도 내려다 보고

 

이름이 맘에 들어서 한방 더~~~ㅎ

 

지나온 정맥길을 한번 조망해보고 

 

가야할 국망봉 방향 

 

 

국망봉 고도 1168, 1 M

후 삼국시대의 궁예가 왕건에게 패하고 이곳에서 탄식했다던가....

 

정상석 뒤 에새겨있는 詩文을 감상하거나 뜻을 새길수있는

학식과 능력은 나에겐 없고 사진이나 한방

 

 

이상하네 꼭 한발 늦게 나타나네

어쨋든 한방 품앗이 

 

 

견치봉 정상 고도 1102 M

산 아래에서 보면 봉우리주변의 암릉이

개의 이빨처럼 보인다고해서 "개 이빨 산' 이라고 한다는데

지금은 나무들이 무성해서 눈으로는 확인이 안된다고 한다

(현지 택시기사의 해설)

 

이곳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면 가평군 북면 적목리 방향

 

민둥산 고도 1008,5 M

민둥산은 정선에만 있는게 아니고 포천에도 있다

  

 같은 장소의 두 표지대

 이정도면 거리 표시글은 아예 없는게 낫다

 

야생화와 억새의 조화

자연의 꽃꼿이 작품

참 아름답다

 

 

 

같은 장소 다른 내용

이정도면 무성의 의 극치다

 

 

 

도성고개 도착

이곳이 예전에는 포천 이동면 사람들과 가평 북면 사람들이 왕래하던 고개길이라고 한다

 

 

내려오니 "불땅계곡"?

혹시 불당이라는 말의 된발음?

그런데 하산길의 119구급대의 표지에는 "불망계곡"으로 표기되어 있던데....

 

오늘의 산행시간

산행 출발 : AM : 06 : 05 경

산행 종료 ; PM : 17 : 20경

(알바 : AM :07:40 경~09:45 경 = 약 2시간이상)

총산행시간 : 11 시간  15 분 (휴식, 식사 및 알바 포함)

 

오늘의 산행거리

광덕고개~(2,0)~백운산~(3,2)~도마치봉~(2,6)~신로봉~(2,3)~국망봉~(1,5)~견치봉~(1,6)민둥산~(2,5)~도성고개

~(2,5)~불땅계곡 입구

 

산행 거리 : 16,7 Km

탈  출  로 : 2,5  Km

알 바 : 2,4 Km X 왕복 = 4,8 Km

총산행거리: 24 Km (도상거리)

 

사용경비

차량회수비용  택시비 30,000원 (유류대, 식대등 제반 비용 제외)